전기인입공사 – 설레발…

집에 도착해 분전반 뚜껑을 따보니 이 매혹스러운 자태. 접지선을 확인 후 어서 전선작업 시작

일단 완성. 멀티탭에 직결이다 !

이제 완성. 기기를 연결. 그러나 전기가 흐르지 않는다 ㅡ.ㅡ

배선만 완료하고 전기계량기도 설치 하지 않은 것 ㅠ

내일 계랑기 설치해야 전기가 들어온다. 접지공사에 신경을 써서 접지는 완벽할 듯… 내일 전기가 들어와야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오디오만을 위해서 배선을 따로 끌어오고 배전반-차단기도 따로 달았음. 이 배선은 오직 오디오만을 위한 전용. 이렇게 대접해주는 소리 개선이 안되면…………

 

 

 

아내가 집에 와서 좋은 점

*

아내가 집에 와서 좋은 점 : 퇴근하고 집에 가면 반겨주고 저녁을 해 놓고 기다리고 있다. 이건 경험해 본 사람만 아는 기쁨임. 아내 휴직 기간에만 누릴 수 있는 호사.

*

아내가 집에 와서 좋은 점일까 아님 그 중간일까 아님 그 중간 위일까 하는 점 그러나 냉정하게 생각해 봤을 때 그 아래일 듯 : 싱크대 바꿔주라고 해서 턴테이블 팔아서 자금 마련. 욕실 리모델링 해달라고 해서 뭘 팔아야 하나 고민중. 아내 짐으로 집이 엄청 좁아졌음. 3층 올라 갈 때 눈치보다가 올라가야 함. 11시 30분까지 안내려오면 아내가 올라와서 구박함. 토요일에 코스토코를 가자고 함. 벌써부터 두려워지기 시작.

어둠이 빛을 이겨낼 수 없듯이, 남편은 아내를 이겨낼 수 없다.

나는 아닐 줄 알았지.

 

 

권정생 선생님이 생각나는 요즘…

없는 집에서 태어나 가난의 굴레속에서 그 자신의 표현대로 오물덩이처럼 구르며 살다 안동의 작은 시골 교회 문칸방에 정착한 권정생. 결핵환자였지만 가난때문에 결핵을 치료받지 못해 전신결핵 환자가 되어 오줌보를 차고 살았던 그.

동화작가로 성공한 후 엄청난 부를 이뤘지만, 그는 이전과 똑같이 가난한 삶을 산다. 주어진 가난이 지긋지긋할만도 한데, 그는 고민도 하지 않고 가난을 선택하고 이전과 똑같은 삶을 산다. 성자가 어디 멀리 뜬구름처럼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권력보다 지독한 금권의 유혹 앞에서도 흔들림없는 그의 초연한 삶이 성자의 삶. 그는 우리 곁에 왔다간 성자이자, 자본이 세상을 쥐락나락하는 이 타락한 세상의 혁명가였다.

그는 돈의 유혹앞에서도 세상에서 가장 작은 사람이라는 자신의 삶을 태도를 바꾸지 않았다. 마을 사람들이 소용 없다 잘라버리려 한 대추나무를 붙잡고 울며 지켜냈던 그 시절의 권정생이나 수십억이 통장 잔고에 쌓여있어도 오만원이면 부족하고 십만원이면 충분히 살았던 권정생이나 똑같은 권정생. 그는 그렇게 혁명이 사라진 시대의 위대한 혁명가였다.

권력관계 상하관계속에서 인간을 바라보는 시각. 어느 순간 권력과 돈에 취해 나도 모르게 그렇게 변해버린다. 그 누구의 예외도 없다. 법과 제도를 아무리 정비해도 사슬처럼 엮인 먹이구조는 변하지 않는다.

나는 아무 것도 아니라는 예수회의 신앙고백. 이 고백은 인간이 어떤 존재인지, 그 본질에 대한 처절한 자기 고백인 것 같다. 세상 어느 인간이 내가 아무 것도 아니라고 생각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