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바티칸 공의회


현재 가톨릭의 모습을 이해하는데 결코 빠트려서는 안되는 사건이 제 2차 바티칸 공의회이다. 요한 23세의 명에 의해서 시작한 이 공의회는 현대 가톨릭의 모습을 완성한 중요한 공의회이다. 역대 교황중에서 가장 중요한 교황중 한 명이라고 생각하는 요한 23세의 가장 중요한 업적이기도 하다.

제2차 바티칸공의회 문헌엔 (무신론자라도) 양심에 따라 사는 사람은 구원을 받을 수 있다. 문구가 명시되어 있다는 사실을 얼마전에 알았다.

정말 놀라운 사실이다. 아마 개신교 내에서 이런 주장을 펼쳤다면 이단으로 정죄받고 교단에서 축출당할 것이다. 2000천년이 넘는 교단이 신흥교단보다 더 진보적일 수 있다는 사실. 그래서 문익환 목사님은 70년대에 이미 요즘은 구교가 신교고, 신교가 구교라는 말씀을 남겼는지도 모르겠다.

내 생각은 저 문구에 그다지 동의하는 편은 아니지만, 구원은 전적인 하나님의 주권아래 놓여있는 문제다. 사람이 왈가왈가 할 영역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구원은 뭐라 정의내리는 순간, 이미 구원은 구원이 아니다. 구원은 정의와 언어의 나열이 아닌 삶을 관통하는 한 사람의 온전한 삶 위에서 내려지는 것, 그것이 구원이라 생각한다. 어느 한 때의 열정과 순종, 선함이 아닌, 통채로 놓여진 내 삶의 모습이 구원이라는 것.

내 생각과 같건 다르건, 내 생각과는 상관없이 50여년 전에 가톨릭이 보여준 열린 구원관은 갈수록 폐쇄적으로 변해가는 개신교의 오늘과 대비된다. 역사라는 물줄기는 계속 흘러가는데, 한쪽은 그 시류를 외면하고 본질과 상관없는 몇몇 구호들만 앞세워, 자신들의 견고한 산성을 짓는데 몰두하고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 대한 7개의 생각

  1. 제가 기독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긴하지만 국내보수단체와 기독교가 서로 상생하는 모습은 꽤나 인상적이더군요. 가깝게 어르신한분께서도 장성출신으로 군보수단체와 대형교회의 주요직책을 오가면 양쪽의 가교역할을 아주 충실히하시던데 이런 비슷한 일은 많은것같더군요. 물론 양단체에서 아주 환영,지지를 받구요. 뭔가 잘 통하는것이 있나봅니다. 사실은 카톨릭이 보수고 개신교가 진보라 봐야할터인데, 국내는 정반대인듯도합니다. 이미 개신교의 대형교회들은 극우라 봐도 무방한걸까요. 재밌습니다. 루터도 떠오릅니다.

  2. 우리나라 개신교는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하는지 이제 감각마저 마비된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아무리 생각해봐도 대한민국 개신교는 길이 없습니다. 개신교도로서 절망뿐인 하루 하루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3. 그렇지만 늦달님처럼 이런 성찰과 반성이 있으신분들이 또한 계시기에 희망도 있는것아닐런지요.

  4. 코스마님 말씀이 틀린 것은 아닌데, 이제는 자정능력으로 해결될 수 있는 한계선을 넘었다고 제가 생각하고 있어서 이것이 사실 좀 문제인 것 같기도 해요.

    스스로 자정능력으로 치유할 수 있다면 이것보다 좋은 것이 뭐가 있겠어요. 하지만 늘 하지만 이라는 단서가 붙을 수 밖에 없는 현실입니다.

  5. 천주교에선.. 하느님의 은총으로 구원을 받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러기에.. 예수님을 믿지않는 사람의 구원의 가능성을 인정하고 있죠.

  6. 물잔디, 유스티나예요.
    교회에서 천주교로 넘어갔지만,, 요새 하는 생각은.. 교회에 대해 긍정적입니다.
    개신교회지체들 또한 하느님 사랑이 필요하며, 또한 연약한 지체들이란 것을.. 목사님조차도
    그리고, 교회안엔 섬김과 나눔이 있다는 것을 보왔습니다.
    늦달님… 우리는 하느님을 믿는 사람들이고, 하나님을 믿는 사람답게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며,
    보이지 않는 것을 기도와 간구로 쟁취해 낼 수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주님안에서 사랑하는 형제님
    주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구하라, 그러면 주실 것이다~!
    다만, 걱정되는 것은.. 무엇을 구할 것인가의 문제입니다.
    그러나 역시 성경 말씀대로..
    너희는 먼저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
    그리하면 이 모든 것을 더해주시리라..
    는 말씀을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Akismet을 사용하여 스팸을 줄입니다. 댓글 데이터가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