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대 후반부터 운동을 시작했으니 7,8년은 된 것 같은데, 아무래도 트레이너의 PT없이 혼자서 공부하고 보고 배우고 듣고 따라하고, 간간히 동네 헬스장 아저씨들에게 배우다 보니, 운동경력이 좀 되었어도 가끔 자세를 지적받는다. 벤치프레스나 턱걸이 같은 운동은 상관이 없는데, 좀 난이도가 있는 운동을 할 때면 그렇다.
2. 어제 동네 헬스장에서 어떤 아저씨의 지적을 받았는데, 웃긴 것은 내가 보기에 그 아저씨는 나보다 더 자세가 엉망이라는 것이다. 그런 아저씨의 자세 지적을 받고 약간의 맨붕이 밀려왔다. 그 아저씨가 부끄러워하지 말라고 하는데, 그 말에 최종적 맨붕이 밀려왔다.
3. 웬만한 운동 강도는 무리없이 소화하고 운동량도 부쩍 늘었는데, 자세의 완벽함에 대한 이야기만 나오면 기가 좀 죽는다. 아무래도 이건 PT를 받지 않고서는 해결되지 않을 문제다. 체중을 10kG정도 운동으로 불려서 근육량이 늘어나 보기 좋은 체형이 된 것은 좋은데, 정체기가 시작된 것 같다. 늘상 하는 운동량으로는 더 이상의 몸에 자극이 되지 않는 것 같다.
4. 결국 중량을 높이는 문제로 넘어가게 되는데, 정확한 자세가 아닌 경우 고중량은 필연적으로 부상을 동반한다는 것을 잘 안다. 그래서 지금의 돌파구로 크로스핏을 배우고 있다. 문제는 이 운동은 서울에서도 가르쳐주는 곳이 별로 없다는 것. 혼자서 동영상보고 읽고 거울보고 해도 한계가 많다. 좋은 점이라면 근력과 유산소가 혼합된 운동이다보니, 운동량은 미칠 듯이 많다는 것. WOD라는 하루 기본 운동목표만 채워도 심장과 근육이 팔딱팔딱 반응을 보인다.
5. 어제의 맨붕 사건 이후 나도 PT를 한번 받아볼까 하는 생각이 조금 밀려온다. 나 스스로도 어느 정도 운동목표를 채울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정체기에 들어선 지금 상황에서 PT는 가장 빠르고 정확한 해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