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스마이어 판본에 가필을 하거나 수정을 가한 작품이 몇 있었지만, 기존 작품들은 쥐스마이어의 작품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안티-쥐스마이어 진영의 대표적인 몬터판본은 쥐스마이어의 작품을 아예 들어내기 까지 했고, 그가 가필한 부분은 최대한 삭제하려 노력한 작품이다. 그 결과 모차르트 레퀴엠의 본령을 찾겠다는 의도는 좋았지만, 이게 모차르트의 의도인지 아닌지가 더욱 불분명해진 것 같다는 생각을 한다.
모차르트 생애 마지막을 함께 했고 레퀴엠의 작곡 과정을 지켜보고 결국 레퀴엠을 마무리한 쥐스마이어의 업적을 무시 할 수 없다. 사실 레퀴엠은 반은 쥐스마이어의 업적이라고 봐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모차르트의 본령을 찾아가겠다는 의도는 어찌보면 현대적인 관점에서의 모차르트일지도 모른다. 어찌되었든 모차르트와 가장 가까운 사람은 쥐스마이어이기 때문이다.
이번 쥐스마이어-듀트론 판본은 지금까지 내가 접한 모차르트 레퀴엠 음반중에서 가장 균형잡힌 판본이라고 생각이 저절로 든다. 그동안의 연구 성과을 취합하고 쥐스마이어에 대한 폄하에 빠진 판본들의 한계를 극복했다는 판단을 하게 된다.
뼈대는 쥐스마이어지만, 기존 판본들이 갖고 있는 장점들을 훌륭하게 수용했다. 레빈이나 몬더 판에서 느껴지는 모차르트 특유의 선율감각들이 절묘하게 흡수되었다. 때문에 쥐스마이어 판본이 갖고 있는 극적이고 비극적인 면들이 많이 걷히고 안티 쥐스마이어 판본들이 지향하는 모차르트 음악의 특징. 어찌보면 천상의 음악 같다는 진부한 표현이 어울리는 면모들이 구석구석 녹아 있다.
라크리모사만 해도 기존의 쥐스마이어 판본과 많이 다르고 아멘의 극적인 면모도 자연스럽게 마무리 짓는다. 일단 뼈대는 손을 대지 않았기 때문에 기존의 쥐스마이어 판본의 장점을 거의 대부분 느낄 수 있다. 더불어 오케스트레이션은 상당부분 미묘한 수정을 거쳤다. 이 둘의 조화가 자연스럽다.
연주는 야곱스 음반답게 템포가 상당히 유동적이고 음악자체도 역동적이다. 지루할 틈이 없다. 여러가지 면에서 쥐스마이어 판본의 대표작인 윌리엄 크리스티 음반과 더불어 강력하게 추천할 만하다.
크리스티 음반은 기존의 무겁고 낭망주의에 경도된 쥐스마이어 판본 연주들 사이에서 해석만으로 쥐스마이어 판본이 갖고 있는 장점을 최대한 드러낸 음반이라면 이번 야곱스 음반은 그동안의 연구 성과물이 응집된 힘이 해석과 더불어 좋은 결과를 낳았다 .
슈페링이나 호그우드의 레퀴엠이 지니지 못한 레퀴엠이라는 곡이 가진 비극성을 살리면서도 그 비극석에 매몰되지 않는 중용을 지녔다. 이는 상당부분 야곱스의 취향과 잘 맞물린 결과라고 생각한다. 마태수난곡에서 그랬지만, 야곱스의 템포 감각은 예사롭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