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팽 발라드 음반, 간략한 평가

루빈스타인 : 모범적인 연주, 다른 연주를 많이 들어보면 왜 루빈스타인은 쇼팽의 교과서라고 하는지 알 수 있음

모나지 않는 루바토, 템포. 그러면서도 할 말은 다 하는 연주.

키신 : 키신의 음반으로 지금까지 한 번도 감동을 받은 적이 없는 1인이기에,

탁히 뭐라 평하기 어려운 음반. 못하지도 잘하지 않았던 느낌의 음반.

프랑소와 : 녹턴에 비해서 프랑소와의 안개 자욱한 터치가 느껴지지 않음.

프랑소와의 병적이 쇼팽 감각은 역시, 발라드 같은 대곡보다는 녹턴 같은 소품집이 더 적합.

페라이어 : 짐머만 이후 가장 훌륭한 쇼팽 발라드라고 생각.

녹음도 훌륭하고 뭐 하나 트집 잡을 틈이 없는 연주.

루빈스타인 이후 페라이어의 발라드가 가장 따뜻한 연주라고 생각.

아쉬케나지 : 천재이면서도 범접할 수 없는 초견의 마왕이지만,

그의 쇼팽은 뭔가 늘 아쉽다. 러시아 시절의 초반 쇼팽은 힘과 패기가 넘치는 열연이었는데…

모라베크 : 미켈란젤리의 제자 답게, 순수하고 투명한 터치,

그리고 쇼팽이 가진 병적인 감수성까지 잘 담아냈음. 알려지지 않았지만,

최고의 쇼팽 발라드 음반중 하나라고 생각.

폴리니 : 거장의 시대가 저물어가는 지금, 생존한 몇 안되는 거장이지만,

발라드가 조금 아쉬운 것은 나만의 느낌일까?

폴리니라는 이름때문에 기대가 지나치게 큰 까닭도 있음.

하라세비치 : 폴란드 출신의 과거를 풍미했던 피아니스트지만,

이제는 좀 낡았다는 느낌이 든다.

짐머만 : 모든 면에서 완벽하다고 생각하는 음반.

템포, 루바토 곡의 전체적인 균형. 모든 것에 있어서 정점에 이르른 음반.

코르토 : 누가 코르토의 겨울바람 연주는 선풍기 바람이라고 이야기했는데,

지금의 관점에서 보면 이렇게 엉망인 연주가 또 있을까 생각할 수 있지만,

코르토의 연주는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불멸의 가치가 있다.

누가 코르토의 그 빛나는 루바토를 따라 잡을 수 있지?

페를뮈테르 : 님버스의 목욕탕 사운드만 견딜 수 있다면

이름값에 충실한 연주. 페를뮈테르라는 이름이 보장.

얼 와일드 : 누구의 제자라는 경력을 찾자면 가장 화려한 피아니스트.

리스트의 직계 제자부터 이름만 대면 후덜덜한 대피아시느트의 제자임.

발라드 연주보다 사실 같이 수록된 스케르초가 훨씬 좋음.

하지만 얼 와이드는 전설이라 불리어도 손색없는 말 그대로 전설임.

데미덴코 : 젋은 패기로 무장한 러시아의 피아니스트 시절 연주임.

키신처럼 뭐라 말하기 어렵다.

허프 : 참 좋은 평가를 받았고, 하이페리온의 특유의 촉촉한 녹음도 훌룡.

연주는 글쎄. 좋은 건 사실인데, 추천하기는 좀 그렇네.

가브릴로프 : 무시무시한 기교의 소유자 답게

직선적으로 쭉쭉 밀어부치는 근육질의 연주.

미켈란젤리 : 달랑 1번만 라이브로 수록된 연주.

하지만 인간의 연주가 어떻게 이럴 수 있는지 경외감이 드는 연주임.

짐머만처럼 여유롭지 않지만,

사람이 연주하는 정점을 보여주는 연주. 그것도 라이브로.

 
바사리 : 하라세비치와 더불어 한 때를 풍미한 피아니스트.

하지만 지금 들어도 바사리의 연주는 낡은 느낌보다는 새롭다는 느낌. 
바사리는 진정한 대가임.

커피, 차 잡담

카페모카의 단맛이 먹을 때만 좋다는 그 단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요즘은 아메리카노를 마시고 있다.
먹고나서도 속이 편한 것을 생각하면 그래도 아메리카노가 맛은 그냥 그래도 제일 낫다는 결론을 내렸음.


요즘 커피 때문에 좋아하는 차를 마시지 못했는데,
오랜만에 차를 마시다 나보다 차를 훨씬 좋아하는 분들의 블로그를 드나들면서 이런 생각이 들었다.


그분이 좋은 차를 구했는데,

1. 이 차를 위해서 대한민국 3대 약수터의 약수를 떠왔음
2. 원적외선으로 물을 끓여야 더 맛있다는 소신떄문에 전기렌지를 새로 구입했음
3. 유리숙우가 차의 맛을 순화시킨다 하면 자기숙우를 새로 마련했음
  -> 결론 차 맛이 더욱 좋아졌다 함.
이 글을 읽고 내가 한 생각은
1. 고인 물은 세계 최고 약수라도 수도물만 못함, 좋은 물이라도 그날 마셔야 함. 그래서 생수는 수도물보다 최악이라고 생각.
2. 전기렌즈에서 원적외선이 나온다면, 원적외선의 효과보다 전자파의 효과가 더 안좋은 영향을 끼칠 거라 생각.
게다가 전기로 물을 끓이는 짓은 일상에서 저지르는 흔한 에너지 낭비임. 가스렌즈로 끓이고 전기포트는 데워먹는 용도가 그나마 적당.
3. 유리 자체의 재질만큼 안정되고 변성없는 재질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도대체 사기의 유약이 유리의 재질보다 낫다는 근거가 뭔지 궁금. 유약도 사실 유리의 재질을 흉내낸 것인데…
  -> 결론 : 저런 수고를 해서 마시는 차가 심리적인 위안와 평안을 가져다 줄지 몰라도, 
                몸은 피곤하고 자원은 낭비하며, 실제로 다른 차와 구분이 가능할지도 의문.
나도 음악, 오디오, 차 이런 쪽은 매니아에 속하는 편이지만,
골수 매니아라는 분들의 삶을 보면 존경보다는 실소가 나올 때가 많다.


이 글을 쓰고보니 수력발전소, 원자력 발전소 전기로 비아냥 거렸던 글이 생각난다.